Monday, March 21, 2011

국카스텐 (2010)

오랜만에 음악얘기를 한 번 꺼내볼까.

1996년, 벌써 15년전이다.
인터넷이 점차 확산되고 음반을 직접 사서 소장하기보다는 mp3로 구해서 듣는 문화가 조금씩 확산되고 있었다. 저가형 CD 레코더가 등장하여 CD를 복제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당연히 음반 시장의 성장이 꺾이기 시작했다. 그 때 등장했던 프로그레시브 락 밴드가 Anekdoten, Anglagard 같은 것들이었고 매니아들로부터 매우 환영을 받았다. 우리나라 대표 프로그레시브스 락 레코드사인 시완레코드는 70년대 앨범을 발굴해서 다시 내놓다가, 트렌드에 따라 한 이태리 신성 밴드를 발매하였다. 그것이 바로 Standarte였다.

이태리 프로그레시브 락 밴드 Standarte 의 동명 앨범 Standarte (1996)
어릴 때 만화 월간지 보물섬을 서점에서 사본 기억들이 있는지... Standarte을 샀던 기억도 보물섬을 손에 쥐었을 때와 비슷한 희열을 느꼈던 것 같다. 발매 이전부터 인터넷을 통해 많은 광고와 호평을 접했기 때문이었기도 하다.

Standarte는 앨범 자켓은 비슷한 색깔을 가진 선배 영국 밴드인 Spring의 자켓을 연상시키는 바랜 빛깔의 공포스러운 이미지이다. 무거운 멜로트론이 깔리는 것도 비슷하다. 90년대 나온 밴드이니까 복고를 추구했던 것 같다. 70년대 천재 프로그레시브 락 밴드 또는 약에 찌든 락 밴드를 연상시키는 살아있는 밴드가 출현했으니 얼마나 신기했을까?

동아리 후배들에게 자랑하고 싶었다. 대학원 시절에 ㅅㅎ 이라는 음악감상 동아리가 있었다. 거의 놀고 먹는 고급 취미를 갖고 있는 동아리였는데, 연주를 직접 할 수 있는 후배들도 있어서 근처 카페를 빌려 공연을 하기도 했었다. 아무튼 매주 동아리에서 음악 감상회를 했는데 Standarte를 들려줬다. 이 시대의 최고 밴드라는 칭송과 함께. 아마도 금요일 밤이었던 것 같다.

변화무쌍한 8분짜리 대곡을 듣고 있는데, 중간에 눈치를 보니 후배들이 키득키득 웃고 있었다. 눈치를 보아하니 후배들에게는 너무 촌스러운 음악이었던 것이다. 집에서 이어폰으로 들을 때와 커다란 스피커로 들을 때와는 또 다르게 들리기도 했다. 악기간 조화로움도 그리 매끄럽게 들리지 않았다. 이 어색함이란. 후배들이 좋아하는 음악은 Blur, Smashing Pumpkins, Pulp, Teenage Fanclub과 같은 밴드들이었다. 취향이 다른 이들에게 내 취향을 강요하려고 했으니...

그 후 Standarte를 잘 듣지 않았다 (고 생각했는데....)
2집 Curses and Invocations도 Black Widow 레코드사에서 우편으로 구입해서 열심히 들었다.




Standarte 이야기를 하다가 갑자기 왜 국카스텐인가?
음악은 취향이기 때문에 이 밴드를 모든 사람이 좋아할 것은 아니라는 것을 미리 말해두고 싶어서이다. ColdplayKeane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시끄럽고 복잡하다고 할 듯.

주말에 유희열의 스케치북을 누워서 보다가 갑자기 앉아보게 만든 밴드가 있었다. 국카스텐이었다. 이미 정규 앨범 하나를 내놓고 EP를 최근에 내놓은 오랫동안 활동을 해오던 밴드였다.

국카스텐은 독일말로 중국의 만화경을 뜻한다고 한다. 밴드 이름부터 가사까지 상상력을 부르는 난해한 말로 채워져 있고, 곡의 구성도 적당히 복잡하고 적당히 귀에 들어온다. 이런 밴드가 우리나라에 있나 생각해보면 잘 찾기 어려운, 굉장히 독특하고 개성있는 밴드이다.

키보드가 없고 현악기 연주과 다양한 distortion 기법을 이용하여 파괴적이지만 아름다운 사운드를 만들어낸다. 이펙터도 다양하게 사용하고, 금속 막대를 기타에 문지르는 주법이나 Steve Rothery가 Marbles 앨범에서 자주 보여준 옥타브간 공명을 이용한 주법, 양손해머링 등 기타리스트로서 훌륭한 테크닉을 보여준다.

실력면에서는 최고인 것으로 인정한다. 유희열씨가 한국의 싸이키델릭 밴드라고 소개하는데 이미 개성면에서 자리를 잡은 것 같다. 다만 목/몸 관리, 팀웍 관리를 잘 해서 롱런하면 좋겠다. 한 가지 더 희망사항이라면 Pink Floyd 처럼 템포와 속도는 느리지만 좀 더 Blues적인 음악도 시도해보면 좋겠다. 대중의 인기와 매니아들의 취향을 모두 만족시켜주는 밴드가 되면 좋겠다. 너무 어려운 희망사항인가?

다음은 1집의 Sink Hole이라는 음악이 우리나라 만화영화의 주제곡으로 사용된 것을 캡처했다. 보컬 하연우씨의 원곡과 비교해서 들으면 재미있다.

Sunday, March 20, 2011

Web Application이 소비자 입장에서 좋은 점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Application보다 Web server에서 동작하는 Application이 소비자 입장에서 좋은 점이 뭘까?
Device에서 동작하는 Application의 예: Microsoft Word

Web Application는 여러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보편적인 예는 아니지만 디바이스에서 직접 동작하는 Application 예로 Microsoft Word Processor를 골랐다. 반면 Web 서버에서 동작하는 Application으로 Google Docs를 들었다. Web Application의 가장 큰 단점으로는 느리고 기능이 적다는 것이다. 복잡한 문서를 작성하려고 할 때 Google Docs를 쓰다가 보면 느린 반응과 없는 기능 때문에 답답함을 느낄 것이다.

Web Server에서 동작하는 Application의 예: Google Docs

하지만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Google Docs를 쓸 때가 있다. 가끔 업데이트하는 차계부나 음악 앨범 리스트는 Google Docs에 저장시켜 놓고 쓴다.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1. 언제 어디서에서든지 접근 가능 (Accessibility)
  2. 공동 작업과 공유의 편리성 (Collaboration)
  3. 싼 가격

차계부나 여행 계획을 저장해놓고 가족들과 공유하며 같이 업데이트할 수 있다. 1, 2번 특징은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특징 때문에 자연스럽게 가지는 특징이다. 하지만 3번 가격이 싸다는 것은 어떤 이유일까? 심지어 대부분 공짜인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Web 표준상에서 서비스가 되고 있으므로 Web 2.0에서 나타나는 많은 사업 모델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사용자들이 저장한 많은 데이타를 활용하여 마케팅 회사나 광고회사에 팔아서 발생하는 가치를 소비자들이 되돌려 받아 공짜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한 Web Application의 단점으로 개인 사생활 침해(Privacy)를 든다.

MS Windows Live Office 2010년도 시작
Microsoft도 Windows Live 사업을 통해 License 사업에서 웹 서비스 사업으로 탈바꿈을 시도하고 많은 투자를 해오고 있다. Windows Live office도 Google을 뒤쫓아 하는 사업으로 무료 저장 공간 서비스인 Skydrive와 함께 Google과 정면 승부를 벌이고 있다.

OPENSTUDIO 2005

MIT 미디어랩 PLW에서는 아티스트와 디자이너들을 위한 실험적인 공간인 OPENSTUDIO를 한동안 운영한 적이 있었다. Treehouse 프로젝트 (2003~04)와 Open Atelier (2004) 프로젝트가 발전된 것으로 사용자가 Web Browser 상에서 직접 그림을 그릴 수 있고 가입된 사람들과 싸이버머니를 가지고 서로 사고 팔 수 있는 시스템이었다. 아쉽게도 지금은 문을 닫았다. 프로젝트 참여자였던 Burak Arikan의 이름을 따서 싸이버머니의 단위는 Burak이었다. 

인터넷의 공유와 공개성의 가치를 누구보다도 빨리 깨달은 사람들의 실험 프로젝트이었다. 나는 이 프로젝트를 보고 실랄한 비판을 가하는 사람들을 많이 봤다. 친절히 설명해줘도 소용이 없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이름있는 대학교나 연구단체들에서 온 사람들이었다. 주로 "뭐하는 프로젝트인지 모르겠다", "기술적으로 발전된 것이 무엇인가?", "애들 장난감 같다" 등등.

우리나라 학계와 기업들은 경쟁자들보다 빨리 가치를 찾아내고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기술의 진보성만으로 승부하는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

Saturday, March 12, 2011

과학 발전과 인간의 행복 지수

역사가 기록되기 시작한 이래 계속해서 과학은 후퇴하지 않고 발전을 해왔다. 2차 세계 대전 이후로 불연속 발전이라고 할 만큼 과학은 급격한 발전을 이뤄오고 있다. 주변에서 가끔은 이제 더 이상 과학의 발전이 없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사용하기 어려운 시스템과 도구들이 등장하면서 현대인들에게 스트레스로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과연 이러한 과학 발전이 우리 인류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일까?

Media Lab의 Founder인 Nicholas Negroponte
네그로폰테 교수 (Nicholas Negroponte) 는 디지털 과학의 발전이 인류의 행복에 기여할 것이라고 믿는 사람 (Digital Optimist)이다. Being Digital의 저자이며 The Wired 잡지의 Founder이기도 하다. 이처럼 굉장히 저명한 네그로폰테 교수는 미디어랩을 세우기 바로 전 해 1984년 TED에서 talk을 한 적이 있었다. 모두 5가지의 의지가 담긴 예견을 했었다.


   1. CD-ROMs
   2. Web Interface (wikipedia와 같은 컨셉)
   3. Service kiosk
   4. Touch Screen interface의 성공
   5. OLPC (One Labtop PC per Child)

1984년 당시에 위와 같은 예견은 2011년 현재 마치 손바닥 크기의 휴대용 원자력 에너지원이 상용화될 것이라고 예언하는 것과 비슷한 레벨의 황당한 예측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예견 모두 20년이 지나기전에 현실화되었다.

제3세계 개발도상국을 돌면서 OLPC를 전파하는 네그로폰테 교수를 보면 열정앞에서 나이는 문제가 아니라는 생각을 들게 한다. 그는 가난한 국가에 식량을 원조하는 것보다 디지탈 문화를 전파하는 것이 결국 그 나라를 부강하게 할 수 있는 도구를 쥐어 주는 것이라고 믿으며 전세계를 누비고 있다.

MIT 학부에서 네그로폰테 교수의 수업을 들으면서 공학도와 디자이너의 꿈을 키웠던 존 마에다 (John Maeda)는 네그로폰테와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미디어랩에서 Simplicity Consortium을 이끌고 The Laws of Simplicity 책을 집필했던 존 마에다 교수는 과학의 발전도  단순함의 미학(Simplicity)에 기반이 되어야 인간의 행복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The Laws of Simplicity 는 그의 blog에 썼던 글을 정리한 것으로 인터넷에서 직접 볼 수 있다.

John Maeda @Davos Forum 2011-1-31 현재 RISD 총장

자동차 메뉴얼보다 더 두꺼운 디지털 카메라의 메뉴얼, 많은 전자 기기들의 복잡한 인터페이스, 정리 정돈되지 않는 데이타가 초래하는 재난, 현대인들이 생산을 위해 여유없게 보내는 직장 생활 등을 언급하며 단순함을 강조했다.

책 내용의 실험에 내 이름이 나온다. 오른쪽 상단 (seung-hun)

과학이 발전할수록 기아와 빈곤이 사라지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더 잔인한 무기의 등장으로 더 위태로운 삶을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매일 책상앞에서 e-mail folder에 쌓인 숙제들을 해야 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하는 삶을 2세들에게는 좀더 행복한 형태로 물려줄 수 있을까? 

Friday, March 04, 2011

생태계(Ecosystem)의 분포와 사회의 고도화

최근 금요일 밤마다 눈길이 가는 TV 프로그램이 있다. 바로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이라는 프로그램이다. 가수 지망생들 아무나 지원할 수 있고 정해진 룰에 따라 한 명씩 탈락하는 Reality Show이다. 모두들 나오는 사람들이 정말 노래를 잘 한다. 하지만 프로 가수들의 노래와 비교를 해서 들으면 차이가 많다. 그런 아마추어들을 멘토들이 혹독하게 지도를 해서 한 단계씩 업그레이드를 해내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최근 출연하는 사람들의 음악 색깔이 모두 비슷하게 느껴진다. 굉장히 다양한 대중음악의 부류가 있는데 왜 비슷한 노래를 하는 사람들 많을까? 갑자기 궁금해졌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스타의 숫자가 늘어날까? 전체 대중음악의 부(富)는 늘어나는 걸까?

지식경제부에서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라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방식은 "위대한 탄생"과 같다. 많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지원자들을 교육, 평가를 반복해가면서 위대한 엔지니어가 될 만한 사람 소수를 선발하여 업계의 리더, 즉 Steve Jobs와 같은 사람들로 육성하겠다는 취지이다. 과연 이러한 방식이 이 사회를 건강하게 하고, IMF와 같은 외부 충격에 대한 복원력을 향상시킬까?

평론가 강헌
오래전(98년경)에 평론가 강헌씨가 학교에 온 적이 있었다. 대중문화 다양성에 대해 얘기한 것을 직접 들었었다. 그가 걱정했던 것은 신승훈과 김건모의 등장이었다. 그들의 등장이 이 사회의 다양성을 해치고 있고, 결국 대중음악의 몰락이 걱정된다는 것이었다. 많은 인디밴드와 가수 지망생들이 대중음악을 더욱 건강하게 하고, 이 업계를 성장시킬 것이라고 얘기했다.
신승훈 6집 _지킬 수 없는 약속_을 발표
실제로 신승훈은 연속된 2백만장 이상 앨범과 누적 천만장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다. 김건모도 거의 같은 히트를 했었다. 음반사와 가수, 작곡가 모두 엄청난 성공을 거뒀고 부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 외 많은 중소 가수들은 어떠했을까? 실력과 상관 없이 그들은 하고 싶어하는 가수 직업을 포기하고 다른 일을 찾아 떠났다. 강헌씨의 주장은 전체 파이의 크기가 한정된 상황에서 몇몇 가수에게 집중되는 현상이 가요계를 파괴하고, 음반산업의 세계 진출을 방해할 것이라는 얘기였다. 반면에 감미로운 멜로디와 자극적인 비트로 무장한 일본 음악이 결국 동남아와 한국의 리어카 음반 시장을 잠식할 것이고, 결국 한국은 일본의 대중 문화 식민지가 될 것이라는 예측을 했었다.

Ecosystem의 분포
위 표에서 A와 B를 보면 A보다는 B의 분포가 더 다양한 집단이고 외부 충격에 강건한 Ecosystem이다. 그럼 이러한 강헌씨의 예측이 맞았을까? 그 이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우리 나라는 많은 우려속에 일본에 대중 문화를 개방하고 한류를 만들어내고 결과적으로는 우리 나라 대중 문화의 수출이라는 쾌거를 이뤄내고 있다.

동방신기의 유노윤호

이러한 현상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 일본 대중 문화를 침투했던 우리 나라 아이돌 그룹의 특징은 엘리트 가수 교육, 철저히 기획되고 훈련받은 상품이었기 때문이라고들 한다. 즉 성장기에는 그래프의 B보다는 A가 훨씬 유리했다는 결론이다. 장하준씨의 "쾌도난마 한국경제"에서도 비슷한 주장을 하고 있다. 대중문화 전문가들도 이러한 한류 현상이 2년 이상 가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한다. 초기 성장시에는 기획된 상품이 유리하지만 저력을 가진 일본 문화가 쉽게 뒤집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우리 나라도 대중 문화 뿐 아니라 경제계, 교육계에서도 다양성의 확대 노력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을 육성하고 인문학과 예술, 체육계의 다변화를 추구하는 것도 사회 전반의 고도화를 위한 길이다.


다윈
여기서 갑자기 의문점이 생긴다. 왜 우리 나라는 다양성이 없을까? 빅뱅을 싫어하고 국카스텐을 좋아한다고 말하면 안되는 것일까?
진화심리학에서 그 원인을 찾아보았다. 우리나라 주변은 많은 전쟁이 있었고 외적들과 항쟁의 역사였다고 한다. 즉, 자신과 다른 사람들이 나타나면 경계할 수 밖에 없었고, 공동체와 다르다는 것은 생존의 문제였을 것이다. 대중의 중심에 있어야만 살아 남을 수 있는 사회. "모난 돌이 정을 맞는다"는 획일화가 미덕이 사회인 것이다. 다윈을 원숭이로 빗대고 진화론을 비난 하는 사람들을 주변에서 볼 때가 있다. 다윈은 이 사회에 가장 영향을 많이 준 인물 100인중 7위에 올랐다. 그런 평가를 받는 이유는 학문적 가치 이외 다른 의미가 있다고 한다.

플라톤
다윈이 등장하기전 플라톤 시대에는 이데아 철학이 서양을 지배했다. 잘 생긴 백인이 이데아이며 절대 선이고 그와 다른 흑인, 황인종은 노예이거나 죄인이었다. 하지만 다윈은 그게 아니라 이 세상 인종의 조상은 아프리카 흑인이고, 서로 다르기 때문에 아름답다는 것을 종의 기원에서 밝히고 있다.

결론:
위대한 탄생은 대중 문화를 발전시키기에 그 영향이 적을 것이다. 이 사회를 더욱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방송, 매체, 대중 모두 다양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토양이 되어야 한다. 반짝 우리 대중문화가 일본 및 동남아에서 성공하고 있다고 해서 이 현상이 계속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문화의 다양성, 그리고 다양성을 길러낼 수 있는 토양, 즉 많은 아마추어들이 그 토양위에서 자신들이 하고 싶은 일을 지속할 수 있는 Platform을 만들어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