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January 30, 2009

John Maeda talk: "My journey in design, from tofu to RISD"



John Maeda의 2008년 6월 TED에서의 talk이다. 댓글을 보니 그의 지난 talk에 비해 전달하는 메시지가 적다고 하는 글이 많다. 예전에 직접 그가 그의 어릴 때 삶과 학생, 디자이너, 아티스트로서의 이력을 설명하는 것을 많이 들어봤다. 그가 말한 것처럼 시대를 앞서가는 명사의 삶으로부터 어떤 특징이 있는지 관찰하고 나 자신과 2세들에게 전달할 수 있겠다.

첫째, 자연과 현상에 대한 관찰: 그가 공학도로 교육받으면서 컴퓨터를 접하고 Paul Rand에 심취하는 것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태도도 있겠지만 사물을 자세히 관찰하고 감상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둘째, Mix: 두세가지 다른 것. 기계와 인간(생명체)의 구분을 두지 않는 그의 작품들이 현 시대의 trend인 것 같다. Computerish artwork, performance, ipod fish 모두 그런 concept을 담고 있다. 보드카 Absolute 디자인, Shiseido, Reebok 디자인은 취미생활이라고 했지만 아티스트와 디자이너 사이에서 모두 재능을 보이는 것이 흥미롭다. 마치 전자공학도가 물리학, 수학 논문을 쓰는 것과 같다고 할까.

세째, Proactive: 모든 유명인사들의 특징이다. 그가 공대를 다니다가 그만두고 일본행을 선택하고, Sony를 다니다가 학교로 돌아오고, MIT를 그만두고 갑자기 RISD로 간 것 모두 끊임없는 도전이 보인다. 확률이 낮고 Risky한 길이지만 두려워하지 않고 선택하여 이겨내기 때문에 성공하는것이다.

한 학교만 11년을 다니고 한 회사를 9년째 다니는 나로서는 그의 도전정신이 부러울 뿐이다.

Friday, January 23, 2009

김동수 대표의 "너의 꿈을 대한민국에 가두지마라"

김동수, president of DuPont Asia-Pacific의 자서전과 같은 책이다. 이 책을 읽으니 내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나는 대학 진학, 학위 취득, 첫직장 생활, MIT 정착, 프로젝트 제안과 상품화 라는 step을 인생의 계단에서 하나씩 내딛어 왔다. 그런데 최근 나는 내 앞에 놓인 계단의 한 step의 높이가 예전의 계단보다 그리 높지 않은 것이 아닌가 의심이 들면서 무기력증에 빠지기 시작한 것 같다. 나는 이전에 해보지 않은 일을 시작할때 느끼는 약간의 두려움과 설레임을 즐기는 부류의 인간인가보다. 내 느낌을 친구에게 털어놓았더니 친구는 이 책을 선물했다.

김동수씨는 무엇이든지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세가지를 기준을 삼았다. 도전, 소통, 원칙이 바로 그것이다. 세가지 기준을 잘 지켜왔기 때문에 200년 역사의 Dupont에서 한 계열사의 President까지 올라갈 수 있었다고 한다. 하루만에 책을 다 읽었을 정도로 저자의 열정이 느껴졌다.

그러나 인생의 절반을 살면서 이미 굳어진 사고와 원칙을 가지게 된 나도 책에서 보여준 열정을 쉽사리 내 인생으로 projection할 수 없었다. 물론 그는 나같은 평범한 사람과 비교할 수 없는 뛰어난 능력과 건강한 생각을 보유한 사람이다. 더군다나 그는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많은 기회를 접할 수 있었다. 복권을 일주일에 한 장 사는 사람과 수십장 사는 사람과의 차이라고 할까. 기회를 만들어 내기 위해 그는 더 많이 일하고 더 많이 실행에 옮겼다.

그는 독자들에게 도전의 용기를 전해주기 위해 이 책을 썼다. 하지만 내게는 그의 목적이 실패했다. 책을 읽었지만 용기보다는 좌절감만 남는다. 한 가지 스스로 나를 위로하는 것은 Door Game에서 하나의 문을 계속 열고 있으니 더 많이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언젠가 내 앞에 놓일 테고 나는 다시 한번 높은 step을 올라가보려고 시도하는 순간이 오지 않을까?

Thursday, January 22, 2009

회사생활백서(7) - 롱런 (Long-run)

두 아이의 아빠로서 애들이 자라나는 모습을 바라 보는 것은 매우 즐겁지만 한편으로는 5-60대 대기업 회사원들이 감원 대상이 되는 것을 보면 걱정이 앞선다. Long-run하는 방법은 없을까?

첫째, 자신의 사업을 갖는다.
욕심부리지 않고 구멍가게 사장이라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환경에서 사업을 하는 것은 매우 위험도가 높다. 아무리 능력이 있고 준비를 많이 한다고 하더라도 우리나라 시장의 협소함으로 인해 성공 확률이 매우 낮다. 특히 제조업을 하고 있는 주위의 선후배를 보면 사업은 달리는 열차와 같아서, 중간에 청산하는 비용이 너무 크고, 실패할 경우 감옥에 가거가 노숙자 신세가 되기 때문에 힘들더라도 그만둘 수 없다고 한다. Long-run을 하기 위해 이런 승산 없는 게임을할 것인가?

둘째, 정면 돌파하고 경쟁에서 승리한다. 이것도 확률은 매우 낮은 게임이다. 하지만 그 순간 순간 경쟁률은 제한되어 있다. 한번 승진할때마다 경쟁률을 높아진다. 매 순간 승리하면 회사내의 최고 자리에 가까와지고 오래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다. 누군가는 이러한 방식이 국내에서 사업을 하는 것보다 확률상 더 높다고 말한다. Long-run을 하기 위해 그리 fair 해보이지 않고 운이 많이 따라야 하는 진흙탕 게임을 할 것인가?

세째, 스스로 강등하여 급여를 낮추고 생산성이 적은 일을 한다. 이것이 가장 안정적으로 보인다. 유럽이라면 이미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정서는 이것을 받아드리지 못한다. 당신이 모시고 있는 보스가 어느날 직급을 당신보다 낮추고 부하로 일한다면 일을 할 수 있을까? 어제까지 사장님이었는데 오늘은 김대리라고 부르며 일을 시킬 수 있을까? 당신이 나중에 55세 임원일 때 회사로부터 퇴사 통지를 받았는데 직급을 대리로 낮추고 계속 다닐 수 있다고 한다면 그걸 선택할 수 있을까?

물론 세째 선택을 감히 하겠다고 답을 할 수도 있을지 모른다. 점차 이 사회도 서구화되가고 서로 격식이 파괴되며 직업을 잃느니 실용을 택하는 사람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이러한 선택을 가로 막고 있는 것은 의외로 단순한 것일 수 있다.

"존대말과 호칭"이다. 우리가 만약 존대말과 호칭이 외국처럼 구분이 없다면 세번째 선택을 하여 힘들지 않게 Long-run을 할 수 있는 사회로 점차 더 가까와 질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위의 세가지 모든 옵션을 선택하지는 못하는 세대이니 불행할 뿐. 계속 갈고 닦아서 어딘가 이 사회가 필요로 할 것이라고 막연히 생각하고 배워 나갈 뿐이다. 아마 대부분의 명예 퇴직자들이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일을 했을 것이다.

Monday, January 19, 2009

인형이 애들에게 신체에 대한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우리나라에 이런 방송이 있다면 어떻게 될까?
개그는 개그일 뿐 오해하지 말자

Bratz Dolls May Give Young Girls Unrealistic Expectations Of Head Size

Saturday, January 17, 2009

회사생활백서(6): Door Game

회사에서 동료들에게 5분간 Dan Ariely의 Predictably Irrational을 소개할 기회가 생겼다. 그래서 최근 뒤숭숭한 분위기에 대해 동료들의 반응이 궁금하기도 하고 약간의 장난기가 발동해서 Dan의 Door Game을 말해보기로 즉흥적인 마음 먹었다.

Door game에서 주는 교훈은 선택에서 발생하는 기회 비용은 선택을 너무 자주하게 되면 증가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과 관련이 없는 기회이지만 사라져 가는 것이 싫어서 그 기회를 붙들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공대를 선택해서 직장의 개발자 생활을 하다가 갑자기 의사가 되고 싶어서 MEET 시험을 보겠다고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랬더니 신모 선임이

"이건 전책임답지 않은 멘트인데요"

라고 말을 했다. 갑자기 내 얘기를 듣고 있는 사람들의 분위기가 썰렁해짐을 느낄 수 있었다. 갑자기 이런 얘기를 꺼낸 것이 후회가 되었다.

최근 듀오의 커플 매니져가 데이트를 원하는 대상을 평가하는 evaluation sheet를 우연히 보게 되었다. 가장 큰 점수를 받을 수 있는 요인은 x사 (변호사,의사,판사,검사,약사,한의사)가 되는 것이었다. 어느새 대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연구원들도 그들의 선택이 잘못되었고 국가와 학교에 속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어 자신의 진로를 바꾸고자 갈등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다. 내가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들 앞에서 찬물을 끼얹은 셈이었다.

그냥 개발자가 아닌 "개발사"라고 나 자신을 부르면서 자기 만족을 하면서 살아야 될까?

겨울의 남한 산성

마천역 1번출구에서 서문으로 가는 길

얼마전에 박찬호 선수가 1박 2일 TV 프로그램에 나왔다. 2009년을 시작하면서 심기일전을 하기 위해 차가운 계룡산 계곡물에 빠지는 모습을 보고 나도 등산을 하면서 마음을 정리해보기로 했다.
남한산성 산행은 지하철 5호선 동쪽 종착역인 마천역에서 시작했다. 마천역 1번 출구를 올라가다보면 등산객의 무리와 자연스럽게 만나게 되어 아주 쉽게 길을 찾을 수 있다.

남한 산성의 벽

남한 산성의 벽은 많이 보수한 것처럼 보인다. 벽돌이나 벽돌을 잇는 시멘트가 최근에 한 것처럼 보여 아쉬웠다.


연주봉옹성에서 바라본 북문방향

눈꽃이 피였다. 지나가는 사람들의 말을 들으니 눈꽃은 눈, 안개, 바람이 불어야 생기고 날씨가 맑아지면 가장 아름답게 보인다고 한다. 사실인지 아닌지는 모른다. 태어나서 처음 보는 장관이 신기해서 연속해서 카메라 셔터를 눌렀다.


서문에서 북문으로 가는 성벽에서 찍은 눈꽃

여기서 알 수 있었던 것은 눈으로 보는 것과 단렌즈 똑딱이 카메라로 찍은 것과는 너무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이다. 실제로는 너무 아름다웠다.


작은 키 풀에 핀 눈꽃

오늘의 등산 코스는 마천역 ->서문 -> 연주봉옹성 -> 북문 -> 동장대 -> 장경사 -> 동문 -> 지수당->남한산성 로터리 였다. 중간에 쉬는 시간이 많고 초행길이어서 약 4시간 걸렸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은 남한산성 로터리 근처에 종점이 있는 9번 버스를 타고 산성역 (8호선)까지 가서 전철을 타고 돌아왔다. 점심을 제대로 안먹고 걸었더니 서문으로 다시 돌아가서 집으로 가겠다는 원대한 포부는 중도에 포기해야 했다.

소나무에 핀 눈꽃

돌아오기 전에 남한 산성 역사관에 들러 brochure를 무료로 받아 왔는데 많은 정보가 담겨져 있다. 매우 공들여 만든 것 같다. 우리나라 문화재, 관광지도 예전에 비해 관리가 되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영문 버젼이 없는 것은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아쉬웠다.

Friday, January 16, 2009

전통 목가구 제작 30년, 소목장(小木匠) 이정곤

소목장 이정곤 선생은 일생을 전통 목가구를 만들어 왔다. 그는 전통목가구에 현대적인 상상을 접목하여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전통 목가구를 만들기 위해 30년간 특별히 manual이나 recipe가 없이 학습과 자기 개발을 통해 터득해왔다는 것이 놀랍다. 과연 장인이라고 불릴 만 하다.



과연 현대의 engineer는 예술가, 장인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Wednesday, January 14, 2009

Internet@TV

삼성전자에서 Internet@TVCES에 발표했다.
TV distrupted에서 IPTV와 Internet TV와의 비교를 하고 있는데 삼성전자에서 내놓은 TV는 바로 Internet TV에 해당된다. TV의 기능을 극대화한 것이다.

Sunday, January 11, 2009

Blowing glass

RISD를 방문하면 귀한(?) 손님들에게 주는 유리병이다. 높이는 약 15cm의 작은 병인데 입으로 불어서 만들었다. 병의 몸통에는 마치 Stained Glass 기법인 것처럼 알록달록한 색깔이 입혀져있다. RISD의 학생들이 학습을 위해 만들어낸 병인데 멀리 조그마한 대한민국의 한 가정집에서 자신이 만들어낸 것을 들여다보고 감상에 빠지는 아저씨가 있다는 것을 상상이나 할까?

쌈지길의 Business Model

쌈지길은 John Maeda 총장이 가장 좋아하는 우리나라 문화의 단면중에 하나이다. 일본보다도 더 활발하고 생동감이 있다고 찬사를 보낸 적이 있다.



그러한 쌈지길은 독특한 Business 모델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모던한 구두, 가방등의 가죽 제품으로 사업을 시작한 쌈지는 몇년전부터 70년대 뒷골목의 모습을 재현한 듯한 복고풍의 디자인 Identity를 선보이고 있다. 쌈지길은 쌈지에서 공간을 마련하고 전체적인 광고, 마케팅을 해주면서 Craft 아티스트, 전통 가구, 옷, 장신구 등의 장인들에게 소비자와 연결할 수 있는 각자의 공간을 대여하고 있다. 아마도 그 수익중 일부를 공유하는 수익 모델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Art의 백화점과 같은 곳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독창성과 예술성이 우리나라의 문화 다양성에 환풍구 역할을 해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작년에 왔을 때만 해도 이러한 낙서는 찾아볼 수가 없었다. 2006년 초 겨울쯤으로 기억하는데, 여기서 Andy Warhol 특집을 하고 있을때 깔끔한 벽면에 그의 작품이 몇개 걸려있던 것으로 기억한다. 지금은 오래된 시멘트 벽면에 낙서들이 잔뜩 적혀있다. 오래된 학교 화장실 벽면 같다. 이 모든 것이 쌈지길을 이루고 있다. 의도된 것인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누군가가 먼저 시작한 것이 사람들의 생각의 배출을 유도했을 것이다. 인터넷 댓글과 같은 참여의 본능은 대를 물려온 오래된 학교 책상의 낙서로부터 시작했고 이는 쉽게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입구에서 파는 붕어빵마저 붕어 모양이 아니라 창조적인 생각을 배설을 하고 싶은 많은 시민의 마음을 표현한 듯하다.

Thursday, January 08, 2009

Samsung Internet@TV

IT 냄새가 물씬 나는 이름이지만 본격적인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TV의 등장이다. Internet @TV는 삼성전자가 작년 Infolink에 이어 world wide로 Yahoo와 손을 잡고 본격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이다. 부디 소비자들이 좋아하고 가격면에서도 부담없는 서비스로 발전하길.

Laon Gallery and Coffee


크게 보기

Laon은 분당 미금역 근방에 있다. Ethiopian Yirgacheffe를 시도해봤다. 커피가 매우 부드럽고, 커피 특성의 맛들이 서로 balance를 이루고 있어 Darjeeling black tea를 마시는 듯한 느낌이란다. 카페인 함유량도 적어 저녁에 마시기에 좋다. 투과식(hand drip)으로 커피를 만들어 향과 맛이 뛰어난 곳이다. 저녁9시까지 open하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Monday, January 05, 2009

Chicken game

James Dean이 주연한 "이유없는 반항"의 Chicken Game의 한장면

애널리스트가 뽑은 올 최고의 유망주로 삼성전자를 꼽았다. (관련기사) 기사중에 Chicken game이라는 단어가 나와서 궁금해졌다. 이럴때는 구글신보다는 Wikipedia God에게 물어보는게 쉽게 찾을 수 있다.

읽다 보니 어원이 무지 재미있다. 영화 Back To the Future의 주인공 Michael J. Fox가 Chicken! 이라고 놀릴때 돌아버리는 장면을 그렇게 재미있어 했는데 어원이 그 의미였다. 두 경쟁자가 서로 Game을 하고 있을때 누구든지 양보를 한 쪽이 최악의 결과를 낳게 되고 끝까지 버틴 상대는 이기거나 아니면 둘다 망하거나 하는 경우를 Chicken game이라고 한다. Game Theory의 일종인 것이다.

Prisoner's dilemma와 비슷한 수학적인 model을 갖는다는데 영화 Beautiful Mind의 실제 주인공이었던 John F. Nash 가 문제를 푸는게 가장 큰 기여를 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고 한다. 경제학과 응용수학의 Mix로 대가를 이뤘다면 Dan Ariely는 경제학과 심리학의 융합으로 나중에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까? 참고로 Dan Ariely와 인터뷰를 한 기사 URL이다.

Chicken game에 대해 다음에 더욱 공부해봐야겠다.

Sunday, January 04, 2009

덕수궁 수문장 교대식의 Business Model

매일 11:00,14:00, 15:30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는 조선시대, 대한제국 시대의 수문장들이 서로 교대하는 식을 재현한다. 그리 오래되어 보이지 않은 악기들을 들고 있는 악대의 연주와 함께 창으로 무장한 수문장들이 서울 시청 별관으로부터 정렬하여 절도있게 나온다.

덕수궁 관람비는 어른이 천원, 미취학 아동은 무료이다. 교대식을 하는 성인 남자들은 약 30여명. Staff들도 몇명이 있어 교대식을 감독한다. 아마도 외주를 준 것 같은데.
여기서 드는 궁금증은 이 많은 사람들을 누가 pay하는 걸까?

마치 Software의 GNU나 컨텐츠의 Creative Commons와 같이 공짜를 이용한 고도의 사업모델이라고 추측된다. 한국인들이 보기에는 각색한 것처럼 보이고 그리 흥미롭지 않게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계속해서 셔터를 누르는 외국인과 장엄한 교대식이 끝나고 장수들과 사진을 찍으려고 줄을 서는 외국인들을 보니 외국인에게는 의미가 있는 행사인가 보다. 그들이 다시 한국을 찾고 친구들에게 한국 다녀온 것을 자랑한다면 결과적으로 이러한 교대식을 계속하는데 발생하는 공공의 혜택은 다수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다시 여기서 발생하는 궁금증.
적당한 관람료를 낸 사람에게만 공개하는 business를 하는 것과 무료로 공개하는 것중에서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이고 결과적으로 더 좋은 business를 하는 것일까? 측정할 수 있을까?

다음은 일부 캡쳐한 동영상이다.

Deoksu-Gung Changing Guard Ceremony from shjeon on Vimeo.

이대앞 가미분식

일요일을 맞이하야 점심으로 가미분식에 들렀다. 다른 블로거들의 글을 보면 (첫번째, 두번째) 어떤 종류의 음식이 유명한지 알 수 있다. 애들 둘, 어른 둘이가서 비빔국수, 닭참국수, 주먹밥, 돌솥밥 그리고 팥빙수를 남김없이 먹어치웠다. 이 URL에는 팥빙수를 서로 비교해놨는데 가미분식의 팥빙수는 그리 높은 점수를 받지는 못했으나 향수를 담은 빙수라고 평을 해놨다.
다음에는 담장옆의국화꽃이라는 곳을 시도해봐야겠다.

한국근대미술걸작전

2008.12.23~2009.3.22에 덕수궁 미술관에서 한국근대 미술걸작전을 하고 있다. 덕수궁 입장료만 내면 미술관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덕수궁 미술관은 두개의 빌딩 (서관, 동관)으로 이뤄져 있는데 서관 1층에서 오디오 가이드를 2천원에 대여하고 있다.


크게 보기


한국근대 미술걸작전 홈페이지를 보면 대표작들을 미리 감상해볼 수 있는데, 이틀전 서울시립미술관에서 봤던 퐁피두 센터 스페셜에 이어지는 작품도 있었다. 시대적인 차이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근대 작품들의 유럽, 일본에서 영향을 받은 이유도 있다.

이대원창변마티즈(Henry Matisse)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짐작되다는 설명을 들으니 그럴 듯 해보였다.
이대원의 농원 (1963)

근대 예술가들은 어떤 고민을 했고, 무엇을 말하고 싶었는지 몇가지 작품들에는 직설적으로 표현했다. 전쟁 후의 모습을 묘사하고, 근대 여성의 모습, 지식인, 종로시장의 풍경등이 기억에 남는다. 5-60년전의 우리 모습은 한 순간의 예술로 남아 현대인에게 전달되고 있다. 기업가들도 이러한 작품으로 구입하는데 이러한 예술도 결국 산업계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일까?

Friday, January 02, 2009

Et in Arcadia ego (화가들의 천국)


서울 시립미술관에서 2008.11.22-2008.3.22 동안 열고 있는 퐁피두 센터 특집 전시회에 다녀왔다. 전시회의 주제는 "화가들의 천국"이다. 그 의미를 Wikipedia를 통해 찾아봤다. 전시회의 요약과 작품들의 설명은 sponsor인 Naver에서 제공하고 있다.

먼저 전시작들을 일곱가지(풍요, 허무, 쾌락, 황금시대, 전령사, 조화, 낙원)으로 grouping 했는데 그 의미부터 궁금했다. Naver의 설명으로는 후기 인상주의 작가인 니콜라 푸생 (Nicholas Poussin)의 아래 작품으로부터 모티브가 발생했다고 한다. 아래 작품은 수많은 명작들을 낳게한 원천이니 그 가치가 대단하겠다. 아래 그림은 위 일곱가지 모티프의 상징을 포함하고 있다.

니콜라 푸생 (Nicholas Poussin)의 "Et in Arcadia ego" (aka "Les bergers d'Arcadie" = The Arcadian Shepherds", 아카디아의 목동들 1627년작)



푸생의 같은 이름의 작품으로 1930년작.

몇가지 의문점을 제시하고 있다.
  • 화가들의 천국이라고 불리는 Arcadia는 어떤 곳일까?
  • 왜 같은 제목으로 두개의 작품을 만들었을까?
  • 작품에 나오는 무덤은 누구의 것일까?
잘 알려진 역사보다는 음모론이 더 재미있다. Et in Arcadia ego sumArcam Dei Tango Iesu의 anagram으로 신의 무덤 즉, "I touch the tomb of God - Jesus"를 의미한다고 한다. 서양의 컨텐츠의 방대함은 위와 같은 신화에서 출발했다고 하니 Davinci Code와 같은 매우 재미있는 소설이 어떻게 해서 탄생했는지 이해가 된다.